3D 프린터를 처음 접한 사용자에게 가장 큰 장벽 중 하나는 슬라이서 프로그램 설정입니다. 특히 많이 사용되는 무료 슬라이서인 Cura(큐라)는 강력한 기능을 갖췄지만, 그만큼 초보자에게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FDM 방식 3D 프린터 초보자가 Cura를 사용할 때 안정적인 출력을 위한 추천 세팅값을 항목별로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출력 온도와 베드 온도: 재료별 적정값 이해하기
출력 품질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는 노즐 온도와 베드 온도입니다. 사용하는 필라멘트 종류에 따라 적정 온도는 달라지므로, 설정값을 잘못 잡으면 출력물이 휘거나 들뜰 수 있습니다.
- PLA: 노즐 200 ~ 210℃ / 베드 50 ~ 60℃
- PETG: 노즐 230 ~ 250℃ / 베드 70 ~ 80℃
- ABS: 노즐 240 ~ 260℃ / 베드 90 ~ 110℃ (밀폐형 프린터 권장)
Cura 기본 설정은 대부분 PLA에 맞춰져 있으므로, 필라멘트를 바꿀 경우 반드시 온도 값을 재설정해야 합니다. 출력 전 예열 기능을 활용하여 적정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층 높이와 벽 두께: 디테일과 강도 밸런스 맞추기
출력물의 품질과 출력 시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가 바로 층 높이(layer height) 와 **벽 두께(wall thickness)**입니다.
- 층 높이: 기본값 0.2mm, 정밀 출력 시 0.12 ~ 0.16mm 추천
- 벽 두께: 1.2mm 이상, 최소 2라인 확보 권장 (노즐 지름 기준)
층 높이가 낮을수록 출력물은 더 매끄럽고 정밀하지만 출력 시간은 크게 늘어납니다. 반면 벽 두께는 강도와 직결되기 때문에 너무 얇으면 쉽게 깨지거나 찢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가정용 출력물이라면 층 높이 0.2mm, 벽 두께 1.2 ~ 1.6mm 정도가 이상적입니다.
출력 속도와 이동 속도: 품질과 시간의 균형 잡기
Cura의 기본 출력 속도는 보통 50 ~ 60mm/s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프린터 성능과 필라멘트 종류에 따라 이 값을 조정하면 더 좋은 품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초보자 추천 출력 속도: 40 ~ 50mm/s
- 이동 속도: 120mm/s 이하 유지
- 첫 레이어 속도: 20 ~ 25mm/s로 낮추기
출력 속도를 너무 빠르게 설정하면 노즐이 재료를 충분히 녹이지 못해 층간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반면 너무 느리면 출력 시간이 길어지고 필라멘트가 과다하게 녹아 흘러내릴 수 있습니다. 특히 첫 레이어는 반드시 느리게 설정해 안정적인 접착을 유도해야 합니다.
지지대 및 브림 설정: 실패 없는 출력 보조 기능 활용하기
처음 사용하는 모델은 형태에 따라 **지지대(Support)**와 브림(Brim) 설정이 필수입니다. 이는 출력 실패율을 줄여주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 지지대 설정: ‘Touching buildplate’ 방식 추천
- 브림: 접착이 약한 경우 ‘Skirt’ 대신 ‘Brim’ 사용
- 서포트 밀도: 15 ~ 20% 수준으로 설정
브림은 접지 면적을 넓혀 출력물이 베드에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해줍니다. 특히 좁은 바닥을 가진 모델이나 키 큰 출력물에서 유용합니다. 서포트는 너무 촘촘하면 제거가 어렵고 출력 시간도 증가하므로, 밀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마무리 요약: 초보자도 출력 성공률을 높이는 Cura 세팅법
Cura 설정은 초보자에게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핵심 항목 몇 가지만 이해하고 조정하면 누구나 안정적인 출력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재료에 맞는 노즐/베드 온도 설정은 필수
- 층 높이와 벽 두께로 디테일과 강도 조절
- 속도는 출력 품질과 시간의 균형을 고려해 설정
- 브림과 지지대는 출력 실패를 줄여주는 보조 기능
처음부터 너무 많은 설정을 만지기보다는, 기본값에서 주요 항목만 천천히 조정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Cura는 기능이 많지만 그만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위 설정값을 참고해 여러분의 3D 프린팅이 더 즐겁고 성공적으로 이어지길 바랍니다.
'3D 프린터 > 사용법 & 설정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모델 파일 오류 해결법: 망가진 STL 복구하는 3가지 방법 (1) | 2025.08.02 |
---|---|
3D 프린터 지원 구조물 이해하기: 지지대(Support)의 모든 것 (1) | 2025.08.01 |
Cura G-code 수정법 기초: 슬라이싱 이후 미세 설정 변경하는 법 (0) | 2025.08.01 |
“3D 프린터 유지보수 꿀팁: 필수 소모품과 청소법 소개” (3) | 2025.07.28 |
“Cura vs PrusaSlicer: 슬라이서 비교와 추천 설정값” (3) | 2025.07.28 |
3D 프린터 노즐 막힘 해결법과 예방법 완전 정리 (3) | 2025.07.28 |
3D 프린터 출력 실패 원인 TOP 10과 실전 해결 팁 (3) | 2025.07.27 |
"3D 프린터 초보자가 범하기 쉬운 7가지 실수와 해결법" (3)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