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사용법 & 설정 가이드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3D 프린터 출력물 접착력 테스트: 본드 vs 아세톤 vs 히트건 3D 프린터로 출력한 부품들을 조립하거나 수리할 때, 생각보다 중요한 게 바로 **‘접착력’**입니다. 출력이 아무리 깔끔하게 잘돼도 결합이 약하면 쉽게 깨지고 무용지물이 되죠. 이번 글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접착 방식인 순간접착제(본드), 아세톤 용해, 히트건 열융착 세 가지를 실제로 테스트하고, 각각의 특징과 상황별 추천을 정리해봤습니다. 본드: 가장 간편하지만 강도는 제한적순간접착제(예: 록타이트, 401 등)는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 면에서는 단연 최고입니다. 출력 후 틈 사이에 바르고 눌러주기만 하면 바로 접착되기 때문이죠.• 장점: 빠른 접착, 별도 장비 불필요• 단점: 충격에 약하고, PLA 기준 표면층만 붙음실제 테스트에서는 PLA 출력물끼리는 겉면만 붙고, 강하게 힘을 주면 쉽게 떨어졌습.. PLA vs PETG 내열성 비교 실험: 실사용 온도 테스트 결과는? 3D 프린터를 사용하다 보면 출력물의 내열성이 생각보다 중요한 요소임을 실감하게 됩니다. 특히 실생활에서 활용할 아이템을 출력할 경우, 온도 변화에 따라 출력물이 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필라멘트인 PLA와 PETG의 내열성을 비교해보고, 실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온도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PLA와 PETG의 기본 특성 비교PLA와 PETG는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널리 사용하는 필라멘트지만, 성질은 다소 다릅니다.• PLA (Polylactic Acid)자연 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소재로, 출력이 쉽고 냄새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내열성은 낮아 약 50~60℃ 이상에서는 점점 휘어지기 시작합니다.• PETG (Polyethylene .. 3D 모델 파일 오류 해결법: 망가진 STL 복구하는 3가지 방법 3D 프린터를 활용하다 보면 예고 없이 출력이 멈추거나, 슬라이싱이 안 되는 상황을 겪게 됩니다.그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손상된 STL 파일입니다. STL은 3D 프린터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모델 포맷이지만, 모델링 과정이나 파일 이동 중 문제가 생기면 손상되기 쉽습니다.오늘은 이런 망가진 STL 파일을 복구하는 실전적인 3가지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1. Meshmixer로 자동 오류 수정하기많은 사용자들이 첫 번째로 찾는 복구 도구는 Meshmixer입니다. Autodesk에서 제공하는 이 무료 툴은 간편하게 STL 파일을 불러와 자동으로 메시 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실행 방법:Meshmixer 실행 후 손상된 STL 파일 열기좌측 메뉴에서 Analysis > Inspector 선택빨간.. 3D 프린터 지원 구조물 이해하기: 지지대(Support)의 모든 것 3D 프린터로 복잡한 형태의 물체를 출력하다 보면 한 가지 벽에 부딪히게 됩니다.바로 출력 도중 허공에 떠 있는 부분을 어떻게 안정적으로 출력할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이때 꼭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지원 구조물(Support Structure)**입니다.Support는 필수 기능이지만, 적절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출력 시간이 늘어나고 표면 품질도 나빠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지지대의 원리, 종류, 세팅 팁, 제거 시 주의점까지실전에서 꼭 필요한 내용을 모두 정리해보겠습니다.지지대(Support)의 역할과 필요성3D 프린팅은 기본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쌓아가는 방식이기 때문에**하단에 지지 없이 공중에 떠 있는 구조물(overhang)**은 제대로 출력될 수 없습니다.바로 이때 지지대가 사용되며,출력.. Cura G-code 수정법 기초: 슬라이싱 이후 미세 설정 변경하는 법 3D 프린터를 활용하는 사용자라면 한 번쯤 출력물이 기대와 달랐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출력 품질을 좌우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슬라이싱 설정이고, 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G-code 파일입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Cura에서 슬라이싱을 마친 뒤 바로 출력에 들어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슬라이싱 이후의 G-code를 직접 수정하는 과정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Cura에서 G-code를 직접 수정하는 이유와 방법, 그리고 주의할 점을 정리해드립니다. 출력의 정밀도나 반복 출력의 효율을 높이고 싶은 분들께 도움이 될 것입니다.G-code란 무엇인가?G-code는 3D 프린터가 출력 과정을 제어하는 명령어 집합입니다.G1, G92 같은 코드들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프린터의 헤드 .. “3D 프린터 유지보수 꿀팁: 필수 소모품과 청소법 소개” 정기 유지보수의 중요성3D 프린터는 정밀 기계입니다. 초기에 아무리 좋은 출력 품질을 자랑해도, 정기적인 유지보수 없이는 출력 실패나 기계 고장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FDM 방식의 프린터는 소모품이 많고, 사용 중에 축적되는 이물질과 마모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출력 퀄리티에 영향을 줍니다.예를 들어 노즐 막힘, 필라멘트 미송출, 출력물 들뜸 현상 등은 대부분 청소 부족이나 부품 마모에서 비롯됩니다. 반대로 말하면, 유지보수를 잘하면 기기 수명은 길어지고, 출력물의 품질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교체가 필요한 필수 소모품3D 프린터는 인쇄만 한다고 끝이 아닙니다. 사용하면서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소모품들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노즐 (Nozzle)소모 속도.. “Cura vs PrusaSlicer: 슬라이서 비교와 추천 설정값” Cura와 PrusaSlicer란 무엇인가?3D 프린터를 사용하는 데 있어 슬라이서는 필수적인 소프트웨어입니다. 슬라이서는 STL 파일을 분석해 프린터가 이해할 수 있는 G-code로 변환해주는데, 그 중심에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바로 Cura와 PrusaSlicer입니다.Cura는 Ultimaker에서 개발한 무료 슬라이서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프린터 지원으로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면, PrusaSlicer는 원래 Prusa 프린터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점점 다양한 프린터와 호환되며 고급 설정을 지원하는 슬라이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두 프로그램 모두 활발히 업데이트되며 사용성을 개선하고 있어, 어떤 슬라이서를 선택할지 고민되는 분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될 수 있을.. 3D 프린터 노즐 막힘 해결법과 예방법 완전 정리 노즐 막힘의 주요 원인 분석3D 프린터 출력 중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가 ‘노즐 막힘’입니다. 노즐이 막히면 출력물이 중간에 끊기거나 레이어가 들뜸 현상을 일으켜 품질 저하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문제는 단순히 장비 고장이 아닌 사용 환경, 필라멘트 상태, 프린터 세팅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합니다.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노즐 온도 부족 – 특정 필라멘트에 맞는 적정 온도를 지키지 않으면 출력 중 재료가 완전히 녹지 않아 노즐 입구에 응고될 수 있습니다.습기 머금은 필라멘트 – 습기를 흡수한 PLA나 PETG는 출력 중 기포를 일으키고 노즐을 막는 주범이 됩니다.노즐 내부 탄화물 축적 – 출력 시간이 누적되면서 노즐 내부에 미세한 탄화물이 쌓여 점차 통로를 좁히게 됩니다.출력 속도와 .. 이전 1 2 다음